소셜 로그인 및 일반적인 로그인 시 , 보통 회원가입 후 앱에 들어가는 순서이다.
하지만 상대방이 테스트를 해야하는 경우, 불필요한 회원가입 로직을 경험하지 않고 바로 앱에 대한 검수를 해야한다.
그때 필요한게 테스트계정이다.
나는 테스트계정 관련해서 설정방법에 대해 적어놓으려고 한다

플레이 스토어에 들어가서
정책 및 프로그램 -> 앱 콘텐츠
에 들어가보면

앱 엑세스 권한 에 대한 정책이 있을것이다. 그럼 그 정책에 대해 관리 버튼을 누르면 바로 위와 같은 이미지처럼 설정관련 페이지가 나올것이다.
여기에서 위와 같이 설정을 해주고 나중에 앱 업로드시 적용시키면 된다 !
구글의 앱 액세스 정책
앱 액세스 권한
로그인 사용자 인증 정보, 로그인 세부정보, 멤버십, 위치 또는 다른 형태의 인증을 기반으로 앱 전체 또는 일부가 제한되어 있다면 앱에 액세스하는 데 필요한 모든 세부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앱 액세스 안내 추가하기
- Play Console을 열고 앱 콘텐츠 페이지(정책 및 프로그램 > 앱 콘텐츠)로 이동합니다.
- '앱 액세스 권한'에서 시작을 선택합니다.
- 참고: 이전에 앱 액세스 권한에 관한 안내를 추가했으며 이를 변경하려면 시작 대신 표시되는 관리를 선택하세요.
- + 새 안내 추가를 클릭한 후 액세스 세부정보를 입력합니다.
- 참고: 일회용 비밀번호, 다중 인증(MFA), 입력란이 3개 이상 있는 로그인 등 특수한 로그인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경우 '다른 안내' 입력란을 사용하여 알려주세요.
- 변경사항을 저장합니다.
업데이트가 거부되거나 앱이 삭제되었다면 다음 안내를 따라 검토를 위해 앱을 다시 제출해 주세요. 정책 지원팀에 문의하거나 답장을 기다릴 필요 없이 아래 단계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 Play Console을 열고 앱 액세스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앱 액세스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저장을 클릭합니다.
- 게시 개요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변경사항을 전송하여 검토받을 수 있음' 섹션에서 변경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전송하여 검토받기 를 클릭하여 검토할 변경사항을 제출합니다. 이 고객센터 도움말에서 변경사항을 검토하고 게시할 시기를 관리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세요.
참고: 안내는 5개까지 추가할 수 있습니다.
우와 같은 안내가 있다.
우리는 소셜 네트워크 로그인이 이제는 필수적인 시대이다.

만약 저렇게 변경하고 앱을 검토하기 위해선 검수를 받아야 하는데 위와 같이 "전송하여 검토받기" 를 눌러 검수를 진행해주면 된다.
그럼 제공된 테스트 계정으로 앱을 테스트하고 나중에 합격인지 불합격인지 통보를 해준다.

대표적인 소셜 로그인
Official Social Login
- Kakao
- Naver
- Apple
이렇게 대표적인 5가지가 있다. 이는 대부분 앱에 필수적인 로그인 기능을 제공하는 유용한 기능들이다.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앱이기도 하고 이미 잘 만들어진 구조를 지니고 있어 데이터 제공하는데에 혹은 받고 가공하는데에 문제없다.
하지만 각 소셜에 대한 로그인 환경설정 방식은 제각각 다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각 기능들을 제대로 검색하고 알아보자 !!
그래서 오늘의 결론 !!
구글 플레이스토어 계정 제공방법에 대한 솔루션을 알아보았다. !!

그럼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는 어떤 테스트 단계가 있을까??
별책부록
✅ 1. 내부 테스트 (Internal Testing) - 최대 100명
Google Play 콘솔에서 내부 테스트 트랙을 사용하면 최대 100명의 테스터에게 APK/AAB를 배포할 수 있어.
📌 설정 방법
- Google Play 콘솔 접속
- [테스트] → [내부 테스트] 메뉴 선택
- 테스트 트랙 생성
- 테스터 추가
- 테스터의 Google 계정을 추가
-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거나 **Google 그룹(Google Groups)**을 이용 가능
- APK/AAB 업로드 후 배포
- 테스터들에게 초대 링크 공유 (테스트 참여 URL)
📌 특징
- 심사 없이 빠르게 테스트 가능
- 비공개 테스트로, 등록된 테스터만 다운로드 가능
- 실제 결제 테스트 가능 (테스트 카드 사용 가능)
✅ 2. 공개 테스트 (Open Testing) - 누구나 참여 가능
오픈 테스트는 Play 스토어에서 공개적으로 테스트 가능한 방법이야.
링크를 공유하면 누구나 참여 가능해.
📌 설정 방법
- [테스트] → [오픈 테스트] 선택
- 테스트 트랙 생성 및 APK/AAB 업로드
- 테스트 URL 생성 → 원하는 사용자에게 공유
📌 특징
- Google Play에서 누구나 테스트 버전 다운로드 가능
- 일부 제한된 국가에서만 테스트 가능하도록 설정 가능
-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음
✅ 3. 라이선스된 테스터 (결제 테스트 가능)
유료 앱이나 인앱 결제 테스트를 하고 싶다면 라이선스된 테스터(라이선스 계정) 등록이 필요해.
📌 설정 방법
- Google Play 콘솔 접속
- 설정 → 개발자 계정 → 라이선스된 테스트 사용자
- 테스트할 Google 계정 추가
📌 특징
- 유료 앱을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
- 인앱 결제 테스트 가능 (실제 결제 없이 테스트 카드 사용)
그래서 상황에 따라 테스트 단계에 맞게 진행하면 되겠다.
💡 결론 (어떤 방법을 선택해야 할까?)
- 개발팀에서만 테스트 → 내부 테스트 (100명 이하)
- 소규모 그룹(클로즈드 베타) → 클로즈드 테스트
- 많은 사람들에게 테스트 공유 → 오픈 테스트
- 인앱 결제 테스트 → 라이선스된 테스터 추가
원하는 방식에 따라 테스트 계정을 추가해서 사용하면 돼!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KaKao 소셜 로그인 설정방법 (0) | 2024.10.23 |
---|